공부공부/JS 딥다이브

[js 딥다이브] 07장 연산자

고생쨩 2023. 10. 16. 13:22
728x90
  • 연산자는 하나 이상의 표현식을 대상으로 산술, 할당, 비교, 논리, 타입, 지수 연산 등을 수행해 하나의 값을 만든다. 이때 연산의 대상을 피연산자라 함.
  • 피연산자는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표현식이여야함. 그리고 피연산자와 연산자의 조합으로 이뤄진 연산자 표현식도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표현식임.
// 산술 연산자
5 * 4 // 20
// 문자열 연결 연산자
'My name is ' + 'Lee' // 'My name is Lee'
// 할당 연산자
color = 'red' // 'red'
// 비교 연산자
3 > 5 // false
// 논리 연산자
true && false // false
// 타입 연산자
typeof 'Hi' // string

7.1 산술 연산자

수학적 계산을 수행해 새로운 숫자값을 만듬. 산술 연산이 불가능하면 NaN을 반환.

7.1.1 이항 산술 연산자

2개의 피연산자를 산술 연산하여 숫자 값을 만듬.

의미 이항 산술 연산자
덧셈 +
뺄셈 -
곱셈 *
나눗셈 /
나머지 %

7.1.2 단항 산술 연산자

1개의 피연산자를 산술 연산하여 숫자 값을 만듬.
이항 산술 연산자와 달리 증가/감소 연산자는 피연산자의 값을 변경하는 사이드 이펙트가 있음.

단항 산술 연산자 의미 사이드 이펙트
++ 증가 O
감소 O
+ 아무효과없음 X
- 양수/음수 반전 X

증가/감소 연산자는 위치에 의미가 있음

  • 앞에 위치한 증가/감소 연산자는 먼저 피연산자의 값을 증가/감소시킨 후, 다른 연산을 수행함.
  • 뒤에 위치한 증가/감소 연산자는 먼저 다른 연산을 수행한 후, 피연산자의 값을 증가/감소시킴.
var x = 5, result;
// 선할당 후증가(postfix increment operator)
result = x++;
console.log(result, x); // 5 6
// 선증가 후할당(prefix increment operator)
result = ++x;
console.log(result, x); // 7 7
// 선할당 후감소(postfix decrement operator)
result = x--;
console.log(result, x); // 7 6
// 선감소 후할당(prefix decrement operator)
result = --x;
console.log(result, x); // 5 5
  • 앞에 쓰는건 솔직히 처음 봄. 반성하자.

숫자 타입이 아닌 피연산자에 + 단항 연산자를 사용하면 피연산자를 숫자 타입으로 변환하여 반환함. 사이드 이펙트 없음

var x = '1';
// 문자열을 숫자로 타입 변환한다.
console.log(+x); // 1
// 부수 효과는 없다.
console.log(x); // "1"
// 불리언 값을 숫자로 타입 변환한다.
x = true;
console.log(+x); // 1
// 부수 효과는 없다.
console.log(x); // true
// 불리언 값을 숫자로 타입 변환한다.
x = false;
console.log(+x); // 0
// 부수 효과는 없다.
console.log(x); // false
// 문자열을 숫자로 타입 변환할 수 없으므로 NaN을 반환한다.
x = 'Hello';
console.log(+x); // NaN
// 부수 효과는 없다.
console.log(x); // "Hello"

-단항 연산자는 피연산자의 부호를 반전한 값을 반환함.

// 부호를 반전
-(-10); // 10

// 문자열을 숫자로 타입 변환
-'10'; // -10

// 불리언 값을 숫자로 타입 변환
-true; // -1

// 문자열은 숫자로 타입 변환할 수 없으므로 NaN을 반환
-'Hello'; // NaN

7.1.3 문자열 연결 연산자

+ 연산자는 피연산자 중 하나 이상이 문자열인 경우 문자열 연결 연산자로 동작한다.
그외의 경우엔 산술 연산자로 동작한다.

// 문자열 연결 연산자
'1' + 2; // '12'
1 + '2'; // '12'
// 산술 연산자
1 + 2; // 3
// true는 1로 타입 변환된다. (암묵적 타입변환 or 타입 강제 변환)
1 + true; // 2
// false는 0으로 타입 변환된다.
1 + false; // 1
// null은 0으로 타입 변환된다.
1 + null; // 1
// undefined는 숫자로 타입 변환되지 않는다.
+undefined; // NaN
1 + undefined; // NaN

7.2 할당 연산자

우항에 있는 피연산자의 평가 결과를 좌항에 있는 변수에 할당함. 좌항의 변수에 값을 할당하므로 값이 변하는 사이드 이펙트가 있음.

할당 연산자 ex 동일 표현
= x = 5 x = 5
+= x += 5 x = x + 5
-= x -= 5 x = x - 5
*= x *= 5 x = x * 5
/= x /= 5 x = x / 5
%= x %= 5 x = x % 5
var x;
// 할당문은 표현식인 문이다.
console.log(x = 10); // 10

할당문은 값으로 평가되는 표현식인 문으로서 할당된 값으로 평가된다. 위 예제의 할당문 x = 10은 x에 할당된 숫자 값 10으로 평가됨. 따라서 다음과 같이 할당문을 다른 변수에 할당할 수 있음. 이러한 특징을 활용해 여러
변수에 동일한 값을 연쇄 할당할 수 있음.

var a, b, c;
// 연쇄 할당.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진행.
// ① c = 0 : 0으로 평가된다
// ② b = 0 : 0으로 평가된다
// ③ a = 0 : 0으로 평가된다
a = b = c = 0;
console.log(a, b, c); // 0 0 0

7.3 비교 연산자

비교 연산자는 좌항과 우항의 피연산자를 비교하고 그 결과를 불리언 값으로 반환함.
if, for 같은 제어문의 조건식에서 주로 사용함

7.3.1 동등/일치 비교 연산자

같은지 확인

비교 연산자 의미 설명
== 동등 비교 타입에 관계없이 값이 같은지 확인
=== 일치 비교 값과 타입이 같은지 확인
!= 부동등 비교 값이 다름
!== 불일치 비교 값과 타입이 다름
동등과 부동등은 사실 사용해본 기억이 없다. 여러 선배분들께 여쭤봐도 마찬가지.
일치, 불일치를 사용하여 정확한 타입까지 검사해 오류를 줄이자!

일치 비교 연산자에서 NaN은 주의해야함.

NaN === NaN; // false

//Number.isNaN()을 쓸것
Number.isNaN(NaN); // true

숫자 비교 시 0과 -0은 같은 걸로 취급함.

0 === -0; // true
0 == -0; // true

Object.is는 좀 더 정확한 비교가 가능

-0 === +0; // true
Object.is(-0, +0); // false
NaN === NaN; // false
Object.is(NaN, NaN); // true

자세한 내용 ->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JavaScript/Reference/Global_Objects/Object/is

7.3.2 대소 관계 비교 연산자

대소 관계 비교 연산자는 피연산자의 크기를 비교하여 불리언 값을 반환함.

대소 관계 비교 연산자 예제 설명
> x > y x가 y보다 큼
< x < y x가 y보다 작음
>= x >= y x가 y보다 크거나 같음
<= x <= y x가 y보다 작거나 같음
// 대소 관계 비교
5 > 0; // true
5 > 5; // false
5 >= 5; // true
5 <= 5; // true

7.4 삼항 조건 연산자

삼항 조건 연산자는 조건식의 평가 결과에 따라 반환할 값을 결정함

조건식 ? 조건식이 true일 때 반환할 값 : 조건식이 false일 때 반환할 값
var x = 2;
// 2 % 2는 0이고 0은 false로 암묵적 타입 변환된다.
var result = x % 2 ? '홀수' : '짝수';
console.log(result); // 짝수

7.5 논리 연산자

논리 연산자 의미
|| 논리합(OR)
&& 논리곱(AND)
! 부정(NOT)
// 논리합(||) 연산자
true || true; // true
true || false; // true
false || true; // true
false || false; // false
// 논리곱(&&) 연산자
true && true; // true
true && false; // false
false && true; // false
false && false; // false
// 논리 부정(!) 연산자
!true; // false
!false; // true
  • 원리가 궁금하면 비트 논리 연산 결과를 보면 됨 -> https://blog.naver.com/kks227/60198878377

  • 논리 부정(!) 연산자는 언제나 불리언 값을 반환함. 단, 피연산자가 불리언 값일 필요는 없음.

  • 논리합 또는 논리곱 연산자 표현식의 평가 결과는 불리언 값이 아닐 수 있음.

7.6 쉼표 연산자

  • 왼쪽 피연산자부터 차례대로 피연산자를 평가하고 마지막 피연산자의 평가가 끝나면 마지막 결과를 반환
var x, y, z;
x = 1, y = 2, z = 3; // 3

7.7 그룹 연산자

  • 소괄호로 피연산자를 감싸는 그룹 연산자는 자신의 피연산자인 표현식을 가장 먼저 평가한다.
    우선순위를 조절할때 사용.
  • 얘만 잘 써도 평가식에서 순서 문제가 생길일은 없지 않을까?
10 * 2 + 3; // 23
// 그룹 연산자를 사용하여 우선순위를 조절
10 * (2 + 3); // 50

7.8 typeof 연산자

  • 피연산자의 데이터 타입을 반환
  • string, number, boolean, undefined, symbol, object, function 중 하나를 반환
  • 7개의 데이터 타입과 정확히 일치하지 않음 주의(어째서??)
typeof '' // "string"
typeof 1 // "number"
typeof NaN // "number"
typeof true // "boolean"
typeof undefined // "undefined"
typeof Symbol() // "symbol"
typeof null // "object"
typeof [] // "object"
typeof {} // "object"
typeof new Date() // "object"
typeof /test/gi // "object"
typeof function () {} // "function"
  • 값이 null 타입인지 확인이 필요한 경우 일치 연산자(===) 사용.
  • 선언하지 않은 식별자는 undefined 반환 주의

7.9 지수 연산자

좌항의 피연산자를 밑으로 우항의 피연산자를 지수로 거듭제곱한다.

2 ** 2; // 4
2 ** 2.5; // 5.65685424949238
2 ** 0; // 1
2 ** -2; // 0.25

음수를 거듭제곱의 밑으로 사용하려면 괄호로 묶고 사용할 것

(-5) ** 2; // 25

다른 산술 연산자와 마찬가지로 할당 연산자와 함께 사용할 수 있음

var num = 5;
num **= 2; // 25

지수 연산자는 이항 연산자중에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음

2 * 5 ** 2; // => 2 * 25 => 50

7.10 그 외의 연산자

기타 연산자는 다른 장에서 살펴보자

7.11 연산자의 부수 효과(사이드 이펙트)

할당 연산자(=), 증가/감소 연산자(++, --), delete 연산자는 사이드 이펙트가 있음.

var x;
// 할당 연산자는 변수 값이 변하는 부수 효과가 있다. 이는 x 변수를 사용하는 다른 코드에 영향을 준다.
x = 1;
console.log(x); // 1
// 증가/감소 연산자(++/--)는 피연산자의 값을 변경하는 부수 효과가 있다.
// 피연산자 x의 값이 재할당되어 변경된다. 이는 x 변수를 사용하는 다른 코드에 영향을 준다.
x++;
console.log(x); // 2
var o = { a: 1 };
// delete 연산자는 객체의 프로퍼티를 삭제하는 부수 효과가 있다. 이는 o 객체를 사용하는 다른 코드에 영향을 준다.
delete o.a;
console.log(o); // {}

7.12 연산자 우선순위

사실 알 필요가 있나 싶음 😆 헷갈리면 그룹 연산자를 활용하자!

7.13 연산자 결합 순서

여기도 마찬가지 생략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