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35

[js 딥다이브] 05장 표현식과 문

5.1 값 값(value)은 식(표현식 expression)이 평가(evaluate)되어 생성된 결과를 말함. 평가란 식을 해석해서 값을 생성하거나 참조하는 것을 의미함. 10 + 20; // 30 // 10 + 20은 평가되어 숫자 값 30을 생성함. 모든 값은 데이터 타입을 가지며, 메모리에 2진수(비트의 나열)로 저장된다. 메모리에 저장된 값은 데이터 타입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음. ex) 메모리에 0100 0001을 숫자로 해석하면 65지만 문자로 해석하면 A임. var sum = 10 + 20; // sum 변수에는 10 + 20이 평가되어 생성된 숫자 값 30이 할당됨 위 예제의 sum 변수에 할당되는 것은 10 + 20이 아니라 해당식이 평가된 결과인 30임. 즉, 변수 sum이 기억이..

[react 공식문서] 01 Your first component

리액트 공식문서 학습기록 https://react.dev/learn/your-first-component 실습 😡 예제대로 했더니 eslint가 img 태그를 picture로 감싸라고 날 괴롭힘. 👉 picture로 감싸줘서 해결 참고) next.js에서는 Image를 쓰라고 권고하는데 width, height가 필수값이라 때려침 😱 궁금해서 tsx로 확장자를 바꿔봤다가 무수히 뜨는 에러를 보고 일단 나중으로 미루고 jsx로 진행 클래스형 컴포넌트? 함수형 컴포넌트? 궁금해서 찾아봄. 찾아보니 hooks의 도입으로 함수형 컴포넌트를 권고한다고 함. 더 가볍고 덜 복잡함. 🤔 그렇다면 리액트에서 일반 함수(함수 선언문, 함수 표현식으로 선언된 함수)와 화살표 함수와의 차이점은?? 👉 검색 결과는 대체로 t..

공부공부/React 2023.10.16

[js 딥다이브] 04장 변수

JS 딥다이브 책 공부를 시작함. 1, 2, 3장은 굳이 정리가 필요없을 듯 하여 생략한다! 😎 49장은 내가 쓰는 환경에선 불필요해서(vite, turbopack 사용) 생략 꼭 필요한 내용만 요약해봄 4.1 변수가 뭐야? 왜 필요함? 계산이 끝난 결과를 재사용하기 위해 메모리 공간에 남겨둠. 변수(variable)는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해 확보한 메모리 공간 자체 또는 그 메모리 공간을 식별하기 위해 붙인 이름을 말함. 변수에 값을 저장하는 것은 할당(대입, 저장) 변수에 저장된 값을 읽어 들이는 것은 참조 4.2 식별자 식별자는 어떤 값을 구별해서 식별할 수 있는 고유한 이름을 말함. 식별자는 값이 아니라 메모리 주소를 기억하고 있음. 4.3 변수 선언 변수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선언이 필요함. ..

얕은 복사와 깊은 복사

얕은 복사와 깊은 복사가 이해가 안되네요. 라는 질문이 들어왔음. 간단하게 두가지 비교를 하고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깊은 복사 방법을 알아보기로 하자. 얕은 복사 사본에 속성을 추가하거나 변경하면 복사본에만 영향을 줌. const original = { name: "girl", age: 18, class: [ "korean", "math" ] }; // 얕은 복사 방법 const clone = { ... original }; // 사본에 속성 추가 clone.height = 163; // 속성 확인 (얕은 복사 후 자식 속성에 변경 확인) console.log(original); // { name: "girl", age: 18, class: [ "korean", "math" ] } console.log..

TIP/JS 2023.10.15
728x90